지속가능경영
ESG경영
SK E&S는 ESG 영역별 핵심 관리지표를 선정하고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관련 내용을 수시로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지배구조]ESG 관련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
SK E&S는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의지와 행동을 이해관계자와 더 명확하게 소통하고, 실행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ESG 영역의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기존의 ESG 정보 공시, 경영시스템 인증 뿐만 아니라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글로벌 리더로서 책임을 다하고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를 ...
-
[지배구조]TCFD/SASB 기반 정보 공시
SK E&S는 GRI Standard*에 따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공시하고 있으며,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 Board,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 TCFD(Task Force on Climate - 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준을 함께 반영하여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ES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GRI...
-
[지배구조]이해관계자 ESG 요구 파악
SK E&S는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ESG 요구에 기반한 사업 개발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업의 핵심 이해관계자인 지자체 및 지역주민의 사업 수용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주민설명회, 마을이장단 협의회, 방문 인터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역주민의 요구를 파악하고, 도시재생, 지역사회 지원 등 지자체의 지원 요청을 기반으로 핵심...
-
[지배구조]반부패 관리 및 구성원 윤리경영 교육
반부패 관리SK E&S는 모든 구성원의 윤리경영 내재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는 윤리경영 교육 성과 및 윤리경영 관련 주요 제보 등 반부패·윤리경영 체계 및 활동에 대하여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에 보고하는 등 윤리경영에 대한 관리감독 수준을 한층 향상시킬 계획입니다.또한 2022년에는 반부패 위반건수 제로화(Z...
-
[지배구조]이사회의 다양성·전문성·독립성 강화
SK E&S는 이사회 중심의 투명경영을 실천하고 있으며, 2021년 이사회 산하 3개의 위원회(미래전략위원회, ESG위원회, 인사·보상위원회)를 신설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이사회 운영구조를 확립하였습니다.특히 2021년 SK E&S는 비상장사임에도 불구하고 사외이사 2인을 신규로 선임했으며, ESG위원회 위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